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내용고형제

타정 공정 타정 공정타정이란 과립 또는 혼합물을 두개의 상/하 펀치로 위아래 압력을 가하여 압축성형하는 공정이다.타정기에 의해서 공정이 이뤄지는데 과립, 혼합공정과 다르게 타정기는 대부분 로터리 타정기를 사용한다. 타정기원반이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가는 로터리 타정기를 단면화시킨 그림인데 매우 보기 좋다. 타정기는 디스크라고 부르는 원반 끝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나있고, 이 구멍에서 상펀치, 하펀치가 상하 운동을 하면서 과립을 압축한다.이때 압축하는 힘을 제공하는 것이 롤이다. 그림에는 작은롤과 큰롤 2개가 표시되어 있는데, 최근에는 대부분 같은 크기의 큰 롤 2개를 사용한다. 타정기 부위별타정기 공정 순서에 따라 나열해보면, 1) feeder이 feeder는 타정기가 가동되는 동안은 비면안된다. 따라서 과립 .. 더보기
건조 공정 건조 공정습식과립(조립)공정을 거친다면 필수적으로 건조공정을 진행해야한다.유기용매를 사용했다면,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건조공정을 통해 날려줘야하고, 물을 사용하였더라도 원할한 다음 공정과 제품품질의 위하여 건조를 통해 적정한 수분량을 갖도록 해야한다. 적정한 함수량을 갖고있지 않고, 너무 수분이 많으면 미생물 번식 위험성이 높아진다.또한 정제 타정이나 캡슐충전시에도 과립의 유동성이 안좋거나 스티킹 등의 공정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물론 주성분이 물에 민감하다면 높은 수분에 의해 분해 또는 변성될 수 있다. 그렇다고 너무 건조를 바싹 시켜버린다면, 정전기에 취약해서 과립의 이동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또한, 너무 낮은 수분은 타정시 결합력을 떨어뜨려 경도가 낮고 캡핑 등 마손도가 낮은 제품을 생산하게.. 더보기
혼합 공정 정의내용고형제 제조 공정의 시작은 혼합이라고 할 수 있다.파우더 형태(가끔 액상)의 주원료 + 첨가제를 균질하게 혼합하는 일이다.혼합이 제대로 완료되어야 과립/조립, 건조, 정립, 타정 등 후속공정에서 제품의 균질성이 보장된다.혼합공정이 완전하지 않다면 아무리 매끈한 정제를 타정했다고 해도, 주성분 함량이 정제별로 들쑥날쑥한 불량 의약품을 제조하게될 뿐이다.방법2개 이상의 입자가 혼합될 때는 입자의 형태나 크기 등 물리적 성질이 유사할수록 잘 혼합되고, 추후 분리도 잘 일어나지 않는다. (입자크기, 비중, 함수율, 입자형태 등)하지만, 실제 의약품 제조시에 이런 물리적 특성을 모두 고려해서 첨가제를 선정하기 쉽지 않다. 특히 제품 처방이 허가에 등록된 경우에는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고 말것도 없이 무조건 .. 더보기
내용고형제 (Oral Solid Dosage) 내용고형제(OSD) 식약처에서 분류한 제형에 따르면 내용고형제는 일반 소비자들에게 친근한 정제(알약), 캡슐 부터 과립, 경구용젤리까지 엄청 다양하다.하지만, 실제로 제조하거나 우리가 복용하는 비율로 따진다면 저 수많은 내용고형제 중 "정제, 캡슐, 과립제"가 90% 이상일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내용고형제(OSD)라하면 입으로 복용하는 고형제제를 뜻하며, 정제/캡슐/과립을 말한다. 내용고형제는 전통적으로 제조되어왔던 케미컬의약품(합성의약품)에서 많이 쓰이는 제형이고, 그만큼 역사도 오래되었다. 하지만 역사는 오래되었지만, 제조원리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오히려 첨가제의 종류가 많아지고, 기능성이 좋아져서 제제 설계하기는 좋아졌다) 내용고형제는 액체가 아니라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고체이다. 따라.. 더보기

반응형